한강 출입통제를 보면 '광안리 수변공원 소등'이 떠올라

 

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감염 속도에 불붙자 정부는 사회적거리두기 2.5단계까지 격상했습니다. 이의 여파로 수많은 자영업자들이 곡소리를 내야했는데요. 한강도 이같은 조치를 피하지는 못했습니다. 

 

서울시는 8일 여의도·뚝섬·반포한강공원 일부 지역을 출입통제하고 매점과 주차장 등 서비스 이용시간을 줄이기로 했습니다. 최근 앞서 언급한 자영업자들이 (반강제로) 영업을 하지 못했기 때문에, 많은 인파가 야외로 쏠리며 나타난 현상인데요.

 

그러나 이에 대한 반발도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무작정 금지를 시키면 안된다" "금지가 아닌 스스로 가지 않게끔 해야한다"고 지적하기도 합니다. 

 

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이제 사람이 모이는 것이 보기 힘들어졌다.

 

현재 한강 일부지역 등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시민 출입이 통제됐습니다. 관련해서 매점 28곳과 카페 7곳은 오후 9시에 문을 닫아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한강공원 주차장(43곳)도 오후 9시부터 익일 오전 2시까지 진입할 수 없는데요. 여기에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 현장 계도도 있을 예정입니다.

 

이 같은 통제는 13일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러나 이런 방침에 저는 과거 부산 수영구의 '수변공원 소등' 관련 정책이 떠올랐습니다.

 

이 정책은 광안리 해변 인근 수변공원에 소음 및 환경오염 등 민원이 수차례 발생하자, 밤 일부 시간대에 공원을 소등하겠다는 정책이었는데요.

 

그러나 실제 기대효과와는 달리 불을 끄니 거기 있던 관광객은 "이벤트인가?", "어두우니까 (술을) 더 잘 마실 수 있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실효성면에서 비판을 받아야했죠. 그때 실제 부산지역 언론사에서도 수많은 비판 기사를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야간에 운용 인력까지 있기 때문에 인건비가 추가로 들어가는 단점도 보였습니다. 아무래도 근본적인 대책을 잡지 않고 겉만 통제하는 식의 정책이었기때문이 아닐까 하는데요.

 

 

이번 한강 관련 밀집지역 통제도 예상치 못한 쪽에서 큰 일이 터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에 대한 반응으로는 "보다 빨리 시행했어야 한다"는 의견도 보이고 "무작정 못가게 하는 것보다 스스로 안 가야한다"는 취지의 메시지도 많이 보였습니다. 

 

그러나 확실한 것은 정부에서 이처럼 애쓰고 있는 것을 보고도 다중이용시설 및 밀집지역을 가느냐입니다. '나는 괜찮겠지', '나 하나 쯤이야' 등의 생각으로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하다가 정말 큰일날 수도 있습니다. 

 

 

한강 등 밀집지역 통제를 수변공원 소등과 비교했을 때 '스스로의 참여가 중요하다'는 점이 공통점이라면 다른점은 '스스로 참여를 하지 않았을 때 피해를 입는 주체'입니다.

 

소음 등의 민원은 사실 자신이 피해를 입는 것은 아닙니다. 떠들고, 쓰레기 버리고 가면 그만이니까요. (뒷처리는 누가하나요?) 그러나 코로나 관련 통제는 지키지 않으면 자신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1월 말부터 2월 초. 코로나 확진자가 그때는 몇 명이었나요? 아마 한 자리 수 였을 것입니다. 지금은 어떤가요? 

 

전염병도 한 명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러니 '나 하나 쯤이야'가 아닌 '나도 조심'의 자세가 필요할 것입니다.